알음알음 이득

작은 지식이 모여 만드는 확실한 이득. 세상 구석구석 유용한 정보와 통찰을 알음알음 모아갑니다.

  • 2025. 8. 11.

    by. 진실한달

    목차

      2025년 3월 20일, 국민연금법 일부가 개정되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.
      이 개정안은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며, 앞으로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보험료율이 인상됩니다.
      이번 글에서는 개정된 주요 내용과 함께, 소득별로 실제 얼마나 더 부담하게 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.

      국민연금인상

      변경되는 주요 제도

      보험료율 단계적 인상

      • 현재 9%인 보험료율(근로자+사용자 합산)이 2033년까지 13%로 올라갑니다.
      • 2026년부터 매년 0.5%p씩 인상되며, 근로자 부담률은 4.5%에서 6.5%까지 증가합니다.

      급여 수준 조정

      • 2026년부터 새로 쌓이는 가입기간에 한해 명목소득대체율 43%를 적용합니다.
      • 이미 쌓인 가입기간이나 현재 수급자에게는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.

      국가 지급 보장 규정 신설

      • 법에 ‘국가가 연금 지급을 책임진다’는 문구를 명문화했습니다.

      크레딧 제도 확대

      • 첫째아 출산도 12개월 가입기간 추가 인정
      • 군 복무 크레딧은 최대 12개월까지 가능(기존 6개월에서 확대)

      저소득 지역가입자 지원 범위 확대

      • 지원 대상이 ‘납부 재개자’에서 저소득 지역가입자 전반으로 넓어집니다.

      보험료 인상 시, 실제 부담금은?

      국민연금 보험료는 월 소득 × 보험료율로 계산하며, 근로자는 절반만 부담합니다.
      이번 인상 계획이 적용되면, 해마다 조금씩 오르다가 2033년에 최종 목표치에 도달하게 됩니다.

      연도 보험료율(합산) 근로자 부담률 월 소득 200만원 월 소득 300만원 월 소득 400만원

      2025 9.0% 4.5% 90,000원 135,000원 180,000원
      2026 9.5% 4.75% 95,000원 142,500원 190,000원
      2027 10.0% 5.0% 100,000원 150,000원 200,000원
      2028 10.5% 5.25% 105,000원 157,500원 210,000원
      2029 11.0% 5.5% 110,000원 165,000원 220,000원
      2030 11.5% 5.75% 115,000원 172,500원 230,000원
      2031 12.0% 6.0% 120,000원 180,000원 240,000원
      2032 12.5% 6.25% 125,000원 187,500원 250,000원
      2033 13.0% 6.5% 130,000원 195,000원 260,000원

      소득별 변화 비교

      • 200만원 소득: 2025년 90,000원 → 2033년 130,000원 (+40,000원)
      • 300만원 소득: 2025년 135,000원 → 2033년 195,000원 (+60,000원)
      • 400만원 소득: 2025년 180,000원 → 2033년 260,000원 (+80,000원)

      개정의 의미와 재정 전망

     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이번 개정으로 국민연금 재정수지 적자 전환 시점은 2048년,
      기금 소진 시점은 2065년으로 기존 전망보다 7~8년 늦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
      보험료율 인상과 급여 조정을 통해 제도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조치입니다.


      💚  더 자세히 알아보기